출처: Programmers > 2021 카카오 채용연계형 인턴쉽 > 거리두기 확인하기
문제 설명:
개발자를 희망하는 죠르디가 카카오에 면접을 보러 왔습니다.
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예방을 위해 응시자들은 거리를 둬서 대기를 해야하는데 개발 직군 면접인 만큼 아래와 같은 규칙으로 대기실에 거리를 두고 앉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.
- 대기실은 5개이며, 각 대기실은 5x5 크기입니다.
- 거리두기를 위하여 응시자들 끼리는 맨해튼 거리1가 2 이하로 앉지 말아 주세요.
- 단 응시자가 앉아있는 자리 사이가 파티션으로 막혀 있을 경우에는 허용합니다.
예를 들어,
5개의 대기실을 본 죠르디는 각 대기실에서 응시자들이 거리두기를 잘 기키고 있는지 알고 싶어졌습니다. 자리에 앉아있는 응시자들의 정보와 대기실 구조를 대기실별로 담은 2차원 문자열 배열 plac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. 각 대기실별로 거리두기를 지키고 있으면 1을, 한 명이라도 지키지 않고 있으면 0을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.
[제한사항]
- places의 행 길이(대기실 개수) = 5
- places의 각 행은 하나의 대기실 구조를 나타냅니다.
- places의 열 길이(대기실 세로 길이) = 5
- places의 원소는 P,O,X로 이루어진 문자열입니다.
- places 원소의 길이(대기실 가로 길이) = 5
- P는 응시자가 앉아있는 자리를 의미합니다.
- O는 빈 테이블을 의미합니다.
- X는 파티션을 의미합니다.
- 입력으로 주어지는 5개 대기실의 크기는 모두 5x5 입니다.
- return 값 형식
- 1차원 정수 배열에 5개의 원소를 담아서 return 합니다.
- places에 담겨 있는 5개 대기실의 순서대로, 거리두기 준수 여부를 차례대로 배열에 담습니다.
- 각 대기실 별로 모든 응시자가 거리두기를 지키고 있으면 1을, 한 명이라도 지키지 않고 있으면 0을 담습니다.
입출력 예:
places | result |
---|---|
[[“POOOP”, “OXXOX”, “OPXPX”, “OOXOX”, “POXXP”], [“POOPX”, “OXPXP”, “PXXXO”, “OXXXO”, “OOOPP”], [“PXOPX”, “OXOXP”, “OXPOX”, “OXXOP”, “PXPOX”], [“OOOXX”, “XOOOX”, “OOOXX”, “OXOOX”, “OOOOO”], [“PXPXP”, “XPXPX”, “PXPXP”, “XPXPX”, “PXPXP”]] | [1, 0, 1, 1, 1] |
입출력 예 설명:
입출력 예 #1
첫 번째 대기실
No. | 0 | 1 | 2 | 3 | 4 |
---|---|---|---|---|---|
0 | P | O | O | O | P |
1 | O | X | X | O | X |
2 | O | P | X | P | X |
3 | O | O | X | O | X |
4 | P | O | X | X | P |
- 모든 응시자가 거리두기를 지키고 있습니다. 두 번째 대기실
No. | 0 | 1 | 2 | 3 | 4 |
---|---|---|---|---|---|
0 | P | O | O | P | X |
1 | O | X | P | X | P |
2 | P | X | X | X | O |
3 | O | X | X | X | O |
4 | O | O | O | P | P |
- (0, 0) 자리의 응시자와 (2, 0) 자리의 응시자가 거리두기를 지키고 있지 않습니다.
- (1, 2) 자리의 응시자와 (0, 3) 자리의 응시자가 거리두기를 지키고 있지 않습니다.
- (4, 3) 자리의 응시자와 (4, 4) 자리의 응시자가 거리두기를 지키고 있지 않습니다.
세 번째 대기실
No. | 0 | 1 | 2 | 3 | 4 |
---|---|---|---|---|---|
0 | P | X | O | P | X |
1 | O | X | O | X | P |
2 | O | X | P | O | X |
3 | O | X | X | O | P |
4 | P | X | P | O | X |
- 모든 응시자가 거리두기를 지키고 있습니다.
네 번째 대기실
No. | 0 | 1 | 2 | 3 | 4 |
---|---|---|---|---|---|
0 | O | O | O | X | X |
1 | X | O | O | O | X |
2 | O | O | O | X | X |
3 | O | X | O | O | X |
4 | O | O | O | O | O |
- 대기실에 응시자가 없으므로 거리두기를 지키고 있습니다.
다섯 번째 대기실
No. | 0 | 1 | 2 | 3 | 4 |
---|---|---|---|---|---|
0 | P | X | P | X | P |
1 | X | P | X | P | X |
2 | P | X | P | X | P |
3 | X | P | X | P | X |
4 | P | X | P | X | P |
- 모든 응시자가 거리두기를 지키고 있습니다.
- 두 번째 대기실을 제외한 모든 대기실에서 거리두기가 지켜지고 있으므로, 배열 [1, 0, 1, 1, 1]을 return 합니다.
피드백:
- BFS의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 BFS를 사용했지만, 논리만 맞다면 처음 시도했던 대로 if 문만으로 간단히 실행 가능(우수답변자1)
- 처음 구상시 고려했던 대로 재귀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(우수답변자2)
코드설명:
DFS, BFS 중 BFS 활용
- 깊이 우선 탐색 (DFS, Depth-First Search)
- : 최대한 깊이 내려간 뒤, 더이상 깊이 갈 곳이 없을 경우 옆으로 이동
- 너비 우선 탐색 (BFS, Breadth-First Search)
- : 최대한 넓게 이동한 다음, 더 이상 갈 수 없을 때 아래로 이동
코드: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from collections import deque
def bfs(p):
start = []
for i in range(5): # 시작점이 되는 P 좌표 구하기
for j in range(5):
if p[i][j] == 'P':
start.append([i, j])
for s in start:
queue = deque([s]) # 큐에 초기값
visited = [[0]*5 for i in range(5)] # 방문 처리 리스트
distance = [[0]*5 for i in range(5)] # 경로 길이 리스트
visited[s[0]][s[1]] = 1
while queue:
y, x = queue.popleft()
dx = [-1, 1, 0, 0] # 좌우
dy = [0, 0, -1, 1] # 상하
for i in range(4):
nx = x + dx[i]
ny = y + dy[i]
if 0<=nx<5 and 0<=ny<5 and visited[ny][nx] == 0:
if p[ny][nx] == 'O':
queue.append([ny, nx])
visited[ny][nx] = 1
distance[ny][nx] = distance[y][x] + 1
if p[ny][nx] == 'P' and distance[y][x] <= 1:
return 0
return 1
def solution(places):
answer = []
for i in places:
answer.append(bfs(i))
return answer
우수답변자1 코드:
if문 활용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def check(place):
for irow, row in enumerate(place):
for icol, cell in enumerate(row):
if cell != 'P':
continue
if irow != 4 and place[irow + 1][icol] == 'P':
return 0
if icol != 4 and place[irow][icol + 1] == 'P':
return 0
if irow < 3 and place[irow + 2][icol] == 'P' and place[irow + 1][icol] != 'X':
return 0
if icol < 3 and place[irow][icol + 2] == 'P' and place[irow][icol + 1] != 'X':
return 0
if irow != 4 and icol != 4 and place[irow + 1][icol + 1] == 'P' and (place[irow + 1][icol] != 'X' or place[irow][icol + 1] != 'X'):
return 0
if irow != 4 and icol != 0 and place[irow + 1][icol - 1] == 'P' and (place[irow + 1][icol] != 'X' or place[irow][icol - 1] != 'X'):
return 0
return 1
def solution(places):
return [check(place) for place in places]
우수답변자2 코드:
재귀 활용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def solution(places):
result = []
dx = [-1, 1, 0, 0]
dy = [0, 0, -1, 1]
def f(i, j, cnt):
nonlocal good
if cnt >2 : return
if -1<i<5 and -1<j<5:
if graph[i][j] == 'X':
return
if cnt != 0 and graph[i][j] == 'P':
good = 0
return
graph[i][j] = 'X'
for w in range(4):
ni = i+dx[w]
nj = j+dy[w]
f(ni, nj, cnt+1)
for case in places:
graph = [list(r) for r in case]
good = 1
for i in range(5):
for j in range(5):
if graph[i][j]=='P':
f(i,j,0)
result.append(good)
return result